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한 인간중심의 AI인재 양성...더보기접기
본 글은 한국 인공지능 커뮤니티의 양영진님의 글을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1. AI의 영향력
인공지능(AI)은 기술 발전을 넘어 인간의 삶, 가치, 사회 구조에 깊은 영향을 미침 .
AI 인재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기술적 능력뿐만 아니라 인간과 사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윤리적 감수성도 포함.
2. 인문학적 소양의 중요성
인문학은 인간의 본질, 가치, 감정, 문화, 윤리 등을 다루며,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짐.
인문학적 소양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사유와 성찰을 통해 인간다움을 내면화하고, 기술 개발 과정에서 인간을 중심에 두는 관점을 가능하게 함.
3. 인간중심의 AI
인간중심의 AI는 기술이 인간을 단순히 모방하거나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삶을 풍요롭고 의미 있게 만드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함.
인간중심의 AI 인재는 단순히 코딩이나 알고리즘을 잘 다루는 것을 넘어, 기술이 인간의 삶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사유하고 설계할 수 있는 통합적 역량을 갖추어야 함.
4. 시스템공학의 역할
인간중심의 AI는 다양한 요소가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복합 시스템(System of Systems, SoS).
시스템공학은 복잡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전체 시스템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학문.
5. 디지털트윈 기반 가상실험
복잡한 AI 시스템의 신뢰성, 안전성, 효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디지털트윈 기반 가상실험이 필수적.
디지털트윈은 실제 시스템을 가상공간에 정밀하게 구현하여, 위험한 상황을 모사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해줌.
6.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인문학적 소양, 시스템공학적 접근, 디지털트윈 기반 가상실험은 서로 보완적이며 통합되어야 함. 이러한 세 요소가 융합된 교육을 통해, 기술을 인간의 가치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 바라보고 실천할 수 있는 통합형 인재를 양성해야 함.
7 결론: 인문학적 소양과 시스템공학, 디지털트윈 기반 가상실험의 융합은 AI가 인간에게 봉사할 수 있도록 이끌어갈 인재 양성의 핵심 요소임.